‘2020년 경기도 평생교육 역량강화 온라인 연수’ 개최
평생교육人들의 연계(network), 소통의 문을 열다!
도내 평생교육 관계자 (공무원, 평생교육사, 지역활동가, 기관종사자 등) 대상
경기도와 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이 오는 11월 3일부터 12일까지 4회에 걸쳐 ‘2020년 경기도 평생교육 역량강화 온라인 연수’를 개최한다.
도내 평생교육 관계자들의 역량과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매년 실시되는 이 연수는 올해 ‘평생교육 집단지성! 우리의 생존전략’에 대해 회차별로 평생교육 지식, 기술, 태도, 힐링(healing) 등에 대한 교육이 예정돼 있다.
11월 3일 1회차 박남기 광주교대 교수(한국교육행정학회장)의 ▲(지식) 코로나 이후의 세계와 평생교육의 방향을 시작으로 5일 2회차 박민경 국가인권위원회 조사관 ▲(기술) 정보에도 권리가 있다, 10일 3회차 김찬호 성공회대 교수 ▲(태도) 평생교육사는 배움의 큐레이터다, 12일 4회차 박수정 에듀플랜 대표 ▲(힐링) 일, 그리고 쉼에 대한 강의가 연달아 진행된다.
강의 후에는 온라인 분임토의를 통해 각 주제별 평생교육 현장의 특성을 반영한 생존전략을 모색하고 적용가능성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가 이어진다.
참여를 원하는 사람은 누구나 31일까지 해당 홈페이지(http://naver.me/F1ROebHw)를 통해 사전 접수만 하면 무료로 참여할 수 있다.
한선재 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장은 “시시각각 변하는 사회에 대응해 경기도 평생교육 관계자들이 서로의 경험과 지식을 나눔으로써 상호 성장․발전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고자 기획된 이번 연수에 도내 평생교육관계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바란다”고 말했다.
도내 평생교육 관계자 (공무원, 평생교육사, 지역활동가, 기관종사자 등) 대상
경기도와 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이 오는 11월 3일부터 12일까지 4회에 걸쳐 ‘2020년 경기도 평생교육 역량강화 온라인 연수’를 개최한다.
도내 평생교육 관계자들의 역량과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매년 실시되는 이 연수는 올해 ‘평생교육 집단지성! 우리의 생존전략’에 대해 회차별로 평생교육 지식, 기술, 태도, 힐링(healing) 등에 대한 교육이 예정돼 있다.
11월 3일 1회차 박남기 광주교대 교수(한국교육행정학회장)의 ▲(지식) 코로나 이후의 세계와 평생교육의 방향을 시작으로 5일 2회차 박민경 국가인권위원회 조사관 ▲(기술) 정보에도 권리가 있다, 10일 3회차 김찬호 성공회대 교수 ▲(태도) 평생교육사는 배움의 큐레이터다, 12일 4회차 박수정 에듀플랜 대표 ▲(힐링) 일, 그리고 쉼에 대한 강의가 연달아 진행된다.
강의 후에는 온라인 분임토의를 통해 각 주제별 평생교육 현장의 특성을 반영한 생존전략을 모색하고 적용가능성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가 이어진다.
참여를 원하는 사람은 누구나 31일까지 해당 홈페이지(http://naver.me/F1ROebHw)를 통해 사전 접수만 하면 무료로 참여할 수 있다.
한선재 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장은 “시시각각 변하는 사회에 대응해 경기도 평생교육 관계자들이 서로의 경험과 지식을 나눔으로써 상호 성장․발전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고자 기획된 이번 연수에 도내 평생교육관계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바란다”고 말했다.
- Tag
- # 평생교육 #경기도 #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
ⓒ 이음플러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기기사
- 1취임 3주년 맞은 조용익 부천시장, 현장 찾아 소통에 집중
- 2부천교육지원청, 2025 부천직업교육협의회 개최 -지역사회 협력을 통한 직업계고 지원 강화 및 미래 교육 방향 모색!-
- 3서영석 의원 ICAO 방문 성과 , ‘ 고도제한 완화를 위한 항공학적 검토 조기 시행 추진 기반 마련 ’
- 4부천시, 민선 8기 10대 성과 발표…‘첨단과학 자족도시 기틀 마련’
- 5"평론으로 만화를 읽다" - 2025 대한민국만화평론공모전 개최
- 6부천문화재단, 시민이 만드는 미디어, 일상을 잇다
- 7 김기표 의원, ‘김용현 꼼수 방지법’ 대표발의
- 8 부천교육지원청, 고교학점제 학부모 설명회 개최
- 9부천 대표 마을 축제 약대동 꼽사리 영화제 7월 7일 개막
- 10사회적 협동조합 이음플러스의 2차 환경강연회 "편리와 이해, 시민의 역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