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부천지역에는 친일파 박제봉이 있고, 박제봉이 살았던 집과 무덤이 있어 이를 중심으로 다른 지역은 어떻게 일제잔재 청산을 했는지 살펴보았다. 그렇다면 다른 유형의 일제잔재에는 어떠한 것이 있을까?
첫 번째, 노래비를 중심으로
충북 제천시에 유명한 고개 '박달재'가 있다.
박달재는 봉양읍과 백운면을 갈라놓은 험한 고개로 박달도령과 금봉낭자의 애절한 사랑이야기가 전설로 내려오고 있다. 이를 모티브로 하여 반야월은 1950년에 노래 <울고넘는 박달재>를 만들었다.
반야월(1917~2012)은 본명이 박창오로 1942년 <결전 태평양>, <일억 총진군> 등의 군국가요를 작사하였으며, 1942년 <일억 총진군>, <조국의 아들-지원병의 노래>, 1943년 <고원의 십오야>를 노래 불렀다. 2010년 6월 국회 간담회에서 친일행적에 대해 공식 사과하였으며, 2016년 3월 민족문제연구소 충북지부 제천단양지회와 제천의병유족회가 함께 노래비 옆에 단죄비를 세웠다.
두 번째, 동상을 중심으로
경남 거제도에는 포로수용소 유적공원 안에 <김백일 동상>이 있다.
김백일 동상은 2011년 5월 27일 거제시와 흥남철수작전기념사업회가 함경남북도 중앙도민회, 창원보훈지청의 후원을 받아 세워졌다.
김백일(金白一, 본명 김찬규(金燦奎), 1917~1951년)은 일본 괴뢰정권인 만주국군 소위, 항일무장독립군 탄압을 목적으로 설립된 간도특설대 창설·대위를 지내면서 항일무장독립군부대를 공격하고 일제의 침략전쟁에 적극 협력하였으며 일제로부터 훈장까지 받은 특급 친일파이다.
거제시민단체연대협의회는 제막식 뒤에서야 그 사실을 알게 되었으며 동상 철거 운동을 전개하였지만 거제시는 법원의 결정이므로 철거할 수 없다고 하여 시민단체연대협의회는 3.1운동 100주년을 맞이한 2019년 '김백일 친일행적 단죄비를 세웠다.
세 번째, 사업을 중심으로
경기도는 3.1운동 100주년을 맞이한 2019년도에 경기도 지역의 친일문화잔재를 조사하여 향후 친일청산의 길잡이로 활용하려는 목적으로 <경기도 친일문화잔재 조사 연구 용역>을 실시하였다.
이 사업은 친일인명사전에 수록된 경기도 지역 친일인물 조사, 경기도 내 산재한 친일재산과 소재 조사, 친일과 관련된 시설, 건축물, 기념비, 동상 등의 친일 관련 조형물 조사, 일제시기 만들어져 지금까지 내려오고 있는 교가, 기념행사 등 무형의 잔재 조사, 지방행정구역 개편을 통한 일제식 지명 개칭의 유형과 현재까지의 잔존 여부 조사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 종합적인 조사와 연구를 시행하였다.
또한 이 사업은 여기에 머무르지 않고 후속조치로 아카이브를 구축한 한편 문화종무과와 경기문화재단에서는 2020년부터 매년 경기도 친일잔재 청산공모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민족문제연구소 부천지부는 2020년에는 독립운동가와 친일파의 삶을 비교한 <웹툰 ‘한 시대, 다른 삶’>을 제작하여 경기도 관내 2400여개 초중고에 도록을 보내 학교내 도서관에 비치하였으며, 부천지부 홈페이지(minjok21.kr) 게시하여 모든 사람들이 볼 수 있도록 하였다.
2021년에는 경기문화재단의 2021문화예술 일제잔재 청산 및 항일추진 공모사업에 지원하여 <생활 속 항일음악 음원> 12곡을 제작하여 경기도 관내 학교 무료 배포하여 학교종소리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외에도 친일잔재 상징물 안내판 설치 사업 안내문 작성하고 자문을 받아 7개소 안내 문안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경기도는 홈페이지 역대 도지사의 친일행적 표시하고 있다. 제1대 구자옥, 제2대 이해익, 제6대 최문경, 제10대 이흥배가 바로 그들이다.
그렇다면 우리 부천시에서는 어떠한 방법으로 일제잔재를 청산할까?
다음과 같은 정책 제안을 한다.
첫 번째, 부천시 차원의 <일제잔재 청산위원회>를 구성, 조사와 연구가 필요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부천에 남아 있는 항일독립운동과 일제잔재를 발굴해야 한다.
두 번째, 시민들이 알 수 있도록 일제잔재의 위치에 안내판 설치
부천역 남부에는 <소사역 하역노동자 동맹파업>과 <계남면사무소 습격사건> 안내판이 2018년 경기문화재단에 의해 만들어졌다.
현재 심곡도서관이 자리잡고 있는 곳은 소사신사가 있었던 자리이며, 구)소사구청은 일흥사가 자리한 곳이다. 부천시 차원의 조치가 필요하다.
세 번째, 시민과 학생들에게 일제잔재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 필요
부천시는 미래교육센타를 세워 부천형 미래교육 정책 및 의제 개발, 교육자원을 활용한 교육활동 연계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다. 이를 활용하여 부천의 역사를 통해 문화, 사회, 예술을 함께 이해할 수 있는 토대를 만들어야 한다.
네 번째, 디지털부천문화대전 누리집 '역곡동 고택' 관련 내용에 '친일파 박제봉이 살았던 집'이라고 적시
경기도에서 홈페이지에 친일파 경기도지사를 표시한 것 처럼 부천시는 디지털부천문화대전 누리집의 '역곡동 고택' 관련 내용에 '친일파 박제봉이 살았다'는 내용과 박제봉의 친일이력을 함께 넣어야 한다.
박종선
부천상동시장에서 한약방을 운영하고 있다.
3대 대한한약사회 이사(2006~07년)
부천허준약초학교장(2014~현재)
부천상동종합복지관 운영위원(2015~2021)
가톨릭대학교 약학대학 약학석사(2016~20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부천시협의회 국민소통분과위원장(2019~21년)
민족문제연구소 부천지부 사무국장을 거쳐 2017년 부터 지부장
2021년 부터 민주평통 부천시협의회 간사로 활동하고 있다.
첫 번째, 노래비를 중심으로
충북 제천시에 유명한 고개 '박달재'가 있다.
박달재는 봉양읍과 백운면을 갈라놓은 험한 고개로 박달도령과 금봉낭자의 애절한 사랑이야기가 전설로 내려오고 있다. 이를 모티브로 하여 반야월은 1950년에 노래 <울고넘는 박달재>를 만들었다.
반야월(1917~2012)은 본명이 박창오로 1942년 <결전 태평양>, <일억 총진군> 등의 군국가요를 작사하였으며, 1942년 <일억 총진군>, <조국의 아들-지원병의 노래>, 1943년 <고원의 십오야>를 노래 불렀다. 2010년 6월 국회 간담회에서 친일행적에 대해 공식 사과하였으며, 2016년 3월 민족문제연구소 충북지부 제천단양지회와 제천의병유족회가 함께 노래비 옆에 단죄비를 세웠다.
|
|
두 번째, 동상을 중심으로
경남 거제도에는 포로수용소 유적공원 안에 <김백일 동상>이 있다.
김백일 동상은 2011년 5월 27일 거제시와 흥남철수작전기념사업회가 함경남북도 중앙도민회, 창원보훈지청의 후원을 받아 세워졌다.
김백일(金白一, 본명 김찬규(金燦奎), 1917~1951년)은 일본 괴뢰정권인 만주국군 소위, 항일무장독립군 탄압을 목적으로 설립된 간도특설대 창설·대위를 지내면서 항일무장독립군부대를 공격하고 일제의 침략전쟁에 적극 협력하였으며 일제로부터 훈장까지 받은 특급 친일파이다.
거제시민단체연대협의회는 제막식 뒤에서야 그 사실을 알게 되었으며 동상 철거 운동을 전개하였지만 거제시는 법원의 결정이므로 철거할 수 없다고 하여 시민단체연대협의회는 3.1운동 100주년을 맞이한 2019년 '김백일 친일행적 단죄비를 세웠다.
|
세 번째, 사업을 중심으로
경기도는 3.1운동 100주년을 맞이한 2019년도에 경기도 지역의 친일문화잔재를 조사하여 향후 친일청산의 길잡이로 활용하려는 목적으로 <경기도 친일문화잔재 조사 연구 용역>을 실시하였다.
이 사업은 친일인명사전에 수록된 경기도 지역 친일인물 조사, 경기도 내 산재한 친일재산과 소재 조사, 친일과 관련된 시설, 건축물, 기념비, 동상 등의 친일 관련 조형물 조사, 일제시기 만들어져 지금까지 내려오고 있는 교가, 기념행사 등 무형의 잔재 조사, 지방행정구역 개편을 통한 일제식 지명 개칭의 유형과 현재까지의 잔존 여부 조사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 종합적인 조사와 연구를 시행하였다.
또한 이 사업은 여기에 머무르지 않고 후속조치로 아카이브를 구축한 한편 문화종무과와 경기문화재단에서는 2020년부터 매년 경기도 친일잔재 청산공모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민족문제연구소 부천지부는 2020년에는 독립운동가와 친일파의 삶을 비교한 <웹툰 ‘한 시대, 다른 삶’>을 제작하여 경기도 관내 2400여개 초중고에 도록을 보내 학교내 도서관에 비치하였으며, 부천지부 홈페이지(minjok21.kr) 게시하여 모든 사람들이 볼 수 있도록 하였다.
2021년에는 경기문화재단의 2021문화예술 일제잔재 청산 및 항일추진 공모사업에 지원하여 <생활 속 항일음악 음원> 12곡을 제작하여 경기도 관내 학교 무료 배포하여 학교종소리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외에도 친일잔재 상징물 안내판 설치 사업 안내문 작성하고 자문을 받아 7개소 안내 문안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경기도는 홈페이지 역대 도지사의 친일행적 표시하고 있다. 제1대 구자옥, 제2대 이해익, 제6대 최문경, 제10대 이흥배가 바로 그들이다.
그렇다면 우리 부천시에서는 어떠한 방법으로 일제잔재를 청산할까?
다음과 같은 정책 제안을 한다.
첫 번째, 부천시 차원의 <일제잔재 청산위원회>를 구성, 조사와 연구가 필요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부천에 남아 있는 항일독립운동과 일제잔재를 발굴해야 한다.
두 번째, 시민들이 알 수 있도록 일제잔재의 위치에 안내판 설치
부천역 남부에는 <소사역 하역노동자 동맹파업>과 <계남면사무소 습격사건> 안내판이 2018년 경기문화재단에 의해 만들어졌다.
현재 심곡도서관이 자리잡고 있는 곳은 소사신사가 있었던 자리이며, 구)소사구청은 일흥사가 자리한 곳이다. 부천시 차원의 조치가 필요하다.
세 번째, 시민과 학생들에게 일제잔재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 필요
부천시는 미래교육센타를 세워 부천형 미래교육 정책 및 의제 개발, 교육자원을 활용한 교육활동 연계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다. 이를 활용하여 부천의 역사를 통해 문화, 사회, 예술을 함께 이해할 수 있는 토대를 만들어야 한다.
네 번째, 디지털부천문화대전 누리집 '역곡동 고택' 관련 내용에 '친일파 박제봉이 살았던 집'이라고 적시
경기도에서 홈페이지에 친일파 경기도지사를 표시한 것 처럼 부천시는 디지털부천문화대전 누리집의 '역곡동 고택' 관련 내용에 '친일파 박제봉이 살았다'는 내용과 박제봉의 친일이력을 함께 넣어야 한다.
|
부천상동시장에서 한약방을 운영하고 있다.
3대 대한한약사회 이사(2006~07년)
부천허준약초학교장(2014~현재)
부천상동종합복지관 운영위원(2015~2021)
가톨릭대학교 약학대학 약학석사(2016~20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부천시협의회 국민소통분과위원장(2019~21년)
민족문제연구소 부천지부 사무국장을 거쳐 2017년 부터 지부장
2021년 부터 민주평통 부천시협의회 간사로 활동하고 있다.
박종선
<저작권자 이음플러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